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해외 ETF, 투자 지식160

일본 닛케이225 주가는 많이 오른 걸까? [보세요. 하나도 안 올랐어요...] 일본 니케이 225는 과연 많이 오른 걸까요?그냥 명목 지수만 보면 안 됩니다.명목 지수는 의미가 없습니다.유튜브에서도 아무도 설명 안 하네요.▶일본은 오른 게 하나도 없음.니케이 225 지수 월봉 차트 보세요.그러면 되게 많이 오른 것 같죠?근데 대다수가 간과한 게 있습니다.차트로 보는 니케이는 실제 수익률이 아닙니다.그거는 엔화 대비 일본 주식입니다.즉, 엔화가 분모에 있다는 겁니다.엔화가 하락했으니 주식이 오른 것처럼 보이죠.미국 S&P500, 한국 KOSPI, 일본 Nikkei 225이 3개를 그냥 비교하는 건 무의미합니다.'미국'은 '달러'대비 주가 수익률입니다.'한국'은 '원화'대비 주가 수익률입니다.'일본'은 '엔화'대비 주가 수익률입니다.심지어 이 지수들은 배당도 빠져있습니다.여러분 3/5.. 2024. 8. 30.
예금, 적금 제발 하지 마요... 100% 확률로 돈이 깎이는 겁니다!! [설명 참고] - 물가상승률 예금, 적금 제발 하지 마세요.100% 확률로 돈이 깎이는 겁니다.그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제발 깨달음이 왔으면 합니다.예금, 적금은 돈이 깎이는 이유예금, 적금은 돈이 깎이는 행위입니다.100% 확률로 깎이는 행위입니다.예적금을 하는 은행도 사기업이기 때문입니다.은행도 돈을 벌어야 하므로 그렇게 설계됩니다.우리가 돈을 가져온다는 건 그들에게 호재입니다.잘 생각해 보면, 우리가 괜히 '고객'이 아니죠.보험도 마찬가지입니다.보험도 돈을 벌어야 하므로 이득 되게 설계합니다.이율이 3%면, 100억을 은행에 주면 103억이죠?만약 그 해에 인플레이션이 4%라면?이건 3억을 번 게 아니라 돈이 깎인 겁니다.단지 기분만, 또는 수치만 그런 게 아닙니다.실제로 깎인 겁니다.어렴풋이 "그렇구나"로 넘어가면 안 됩니다.. 2024. 8. 29.
[KODEX 200], [KODEX 200TR] - 코스피200 더 좋은 건 정해짐. [KODEX 200], [KODEX 200TR] 비교합니다.둘 중에 좋은 건 정해져 있습니다.그 이유를 보겠습니다.KOSPI 200 ETF미국뿐만 아니라 신흥국도 해야 합니다.개별종목이든, ETF든 취향대로 말입니다.한국은 신흥국 중에 일단 상위권입니다.최근 10년 간 대부분 신흥국은 아예 우하향했죠.물론 최근 한국은 미국에 비해 성과가 좋지 않았죠.아이폰이 출시된 이후로 미국만 날아갔습니다.장기적으론 한국이나 미국이나 성과 비슷했습니다.(월봉으로 1980년부터 비교)"한국은 저출산에 경제성장이 꺾였다""한국은 거버넌스가 문제고, 금융 후진국이다!"투자자 중에(특히 기관) 이거 모르는 사람 있나요?모르는 사람 없습니다.그래서 매수 안 하니까 가격이 싼 겁니다.우리가 아는 정보는 반영됐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2024. 8. 27.
코스피가 미국 S&P500보다 안 오른 게 맞을까? [절대 아님 - 주가지수의 왜곡] 한국 주식, 미국 주식을 비교하겠습니다.대부분 사람들이 간과하는 것도 말합니다.경력 5~10년 남짓한 투자자는 깨달아야 합니다.이런 중요한 것도 유튜브에서 잘 안 다룹니다.▶한국 주식, 미국 주식 편견한국 주식, 미국 주식에 대한 편견이 있죠?최근 10년 넘게 미국이 더 좋았습니다.막연히 미국 우상향, 한국 박스피라 생각하죠.지평을 넓게 보면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그리고 대다수는 비교자체를 할 줄 모릅니다.코스피 지수, S&P500 지수로 보면 안 됩니다. 지수는 심각한 왜곡이 있습니다.일단 지수엔 '배당'이 안 들어 있습니다.또, 지수는 해당 국가의 '통화'가 분모입니다.[S&P500]이 5,000 → 5,500 가면 10%죠?[KOSPI]가 2,000 → 2,200 가면 10%죠?둘 다 10%일까요?.. 2024.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