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85

금값에 이어 은(Ag)도 ETF로 대비하시죠. [SIVR vs SLV 승자?] 지난 시간에 금(Au) 투자처를 알아보았습니다.오늘은 은(Ag) 투자를 알아보겠습니다.▶은(Ag)은 우상향 하는가? 메리트?은(Ag)은 금(Au)과 겉으로만 친한 친구입니다.금(Au)은 안전자산으로 오를 때가 있습니다.은(Ag)은 산업금속이라서 성격이 다릅니다.하지만 또 인플레이션 땐 같이 오를 때도 있죠.은(Ag)은 특히 365일 들고 가는 자산은 아닙니다.변동성이 매우 크고, 특정 국면만 오르기 때문이죠.유리한 국면이 아니면, 오랜 기간 물릴 수 있죠.그래서 저는 아직 '투자'는 안 합니다.현재는 오로지 '트레이딩'으로만 하지요.다만, 개인적인 의견을 말하겠습니다. 위의 그래프에 peak가 2개가 보이죠?전 미래엔 3 peak가 올 것이라 생각은 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지구 겉에 있.. 2024. 4. 19.
금값에 대응하는 최고 미국 ETF는? (GLD vs GLDM vs IAU) 금을 거래하는 방법은 많습니다.다만, 여러 가지 이유를 고려 시 ETF가 효율적이죠.따라서 금의 ETF를 비교하겠습니다.▶금은 포트폴리오에 필요한가?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금은 역사적으로 우상향을 했습니다.금은 헤지 수단, 트레이딩 측면에서 필요합니다.왜냐하면 금이 오르는 '국면'이 존재합니다.그 '국면'을 정확히 딱 들어맞게 알 수는 없습니다.다만, 금의 수급이 들어올 때가 있습니다. 주식/채권/코인 시장에서 돈이 빠져나갈 때죠.주식과 채권이 조정올 때 오르는 경우가 있습니다.(돈은 항상 어딘가로 흐름)저는 이런 경우 언제든지 사용합니다. 다만, 포트폴리오의 30%를 넘기지는 않습니다.리스크가 적지는 않거든요.혹자는 자산배분 측면에서도 사용하기도 하는데요.365일 일정 비율 들고 있는 투자 .. 2024. 4. 18.
[시험 반영] 투자자산운용사 Yield Curve(일드 커브) 정리! 채권의 Yield Curve(일드커브)를 정리하겠습니다.실제 시험에 나오는 핵심만 정리합니다! 오늘 내용 중 시험 2개나 나왔습니다. 빨간색으로 음영표시 하겠습니다!▶Yield Curve꼭 투운사가 아니더라도 자주 봤을 겁니다.Yield Curve의 개념이 뭔가 헷갈릴 수 있습니다.1개의 채권으로 그린 게 아니라서 그렇습니다.아래의 내용 이해 후 핵심포인트 정리하겠습니다!▷채권의 위험구조 차이로 발생일드커브는 왜 발생할까요?왜 이것을 그래프로 표현할까요?그 이유는 채권마다 위험이 달라서입니다.같은 국채여도 만기에 따라 다릅니다.같은 만기여도 주체에 따라 다릅니다.일반적으로 위험이 높으면 수익률도 높죠?그래서 만기에 따라 저렇게 우상향 합니다.시험에는 아래 내용과 그래프만 알면 됩니다.① 위험구조국채보다 .. 2024. 4. 17.
[실제 시험 반영] 투자자산운용사 채권 볼록성 투자자산운용사 채권 볼록성을 정리하겠습니다.지난번 듀레이션 시험 나오는 부분 체킹했죠?오늘 볼록성도 듀레이션만큼 중요합니다.중요한 부분은 빨간 글씨로 쓰겠습니다.▶채권의 볼록성채권의 볼록성을 왜 배울까요?볼록성이란 말이 오히려 헷갈리죠.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는 요소입니다.(물론 실제 변수엔 수급도 있음)근데 그 그래프가 실제론 직선이 아니라, 곡선입니다.이것을 볼록성이라고 합니다.볼록성의 특성그림이 거창해 보이는데요.직선이랑 곡선만 보시면 됩니다.금리(수익률)가 오르면 가격이 하락하는 점은 똑같죠.다만, 실제 함수는 저 위의 곡선입니다.항상 직선보다 위에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즉, 볼록성의 존재는 가격 상승에 더 유리합니다.(이게 우상향의 원천이라는 이유도 있습니다)여하튼 시험에 나오는 포인.. 2024.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