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트폴리오 설계 (투자 기초)

[주식투자] 기관, 외국인 수급의 중요성를 알아보자! [연기금, 투신]

by 현빠. 2024. 2. 23.
반응형

기관 수급의 중요성, 종류

주식투자하면서 기관, 외국인에 대해 자주 봤을 겁니다.
기관 순매수, 외국인 순매도 등 매번 뉴스에 나오죠.
오늘은 기관수급의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총 2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기관수급이 중요한 이유
2. 기관의 종류와 중요도 순서

▶기관 수급이 중요한 이유

기관 수급은 매우 중요합니다.
외국인도 사실상 미국기관이므로 매우 중요하죠.
기관은 리스크 관리 및 리서치를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매번 무조건 버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꾸준히 우상향 하여 성장하는 건 자명합니다.
애초에 이 명제가 거짓이라면, 기관이 존재할 수 없죠.

누가 돈을 맡기겠습니까?

특정 정보성에 의한 것도 물론 있습니다.
애초에 시스템 자체를 알고 투자하기 때문이죠.
개인처럼 아무 생각 없이 돈을 투입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반드시 기관을 모방해야 합니다.


그리고 거래량도 기관 거래량이 훨씬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매집 또는 팔고 있다면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금액 자체가 커서 하루 만에 다 못 삽니다.
즉, 매집하고 있다면 앞으로도 살 것을 암시합니다.

물론 '기관'이 1개는 아니니 단정 지을 수는 없어요.

그래도 유의미한 것은 맞습니다.
개미가 많이 산 것에 비해서는 훨씬 좋은 징조입니다.
개미가 많이 샀다고 하면 슬슬 매도해야 합니다.

고수들은 그렇게 합니다.


외국인 순매수, 기관 순매수를 잘 보세요.

특히 코스닥 같은 경우는 비효율이 심한 시장입니다.
개미의 1개월 순매수, 3개월 순매수가 양수라면?
저는 슬슬 인버스 준비합니다.
실제로 이렇게 종종 돈을 법니다.
'평균 개미'는 돈을 잃지만,
'평균 기관'은 돈을 법니다.
이것을 잊지 마세요.
제발 개미 반대로 하세요!! 

 

▶기관의 종류와 중요도 순서

외국인 투자는 사실상 월가고 당연히 중요합니다.

오늘은 세부적으로 나뉘는 국내기관에 대해 설명합니다.

기관 구분 기관 종류
투신 자산운용사(펀드매니저)
금융투자 증권사
프로그램 프로그램 자동 매매 
연기금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등
보험/은행 보험, 은행
사모펀드 PEF, 헤지펀드
기타법인 금융기관 아닌 기관 (ex 삼성전자)
저의 경험으론 개인적인 중요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기금, 투신, 금융투자 순서로 중요시 봅니다.

<연기금>
국민들의 연금, 기금으로 투자하는 기관입니다.

따라서 망하지 않을 투자를 지향합니다.
물론 이들도 많이 틀리지만, 맞추는 경우가 더 많아요.
그리고 애초에 금액자체가 매우 큽니다.

이게 핵심입니다.
웬만한 코스피 상장사 보세요.
연기금 대주주 아닌 거 찾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돈이 들어오고 있다면 호재입니다.

<투신, 금융투자>
메인 금융투자기관이기 때문에 당연히 중요합니다.


<프로그램>
프로그램은 종종 특정 시그널에 의해 과매도나 과매수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근데 이때 동향을 봐야 합니다.
만약 프로그램이 과매도를 해서 주가가 빠졌는데,
다른 기관은 사고 있다면?

사실 이것은 기회일 확률이 높습니다.
일시적 과매도 확률이 높습니다.

<사모펀드>
비상장투자나 IPO 초기면 의미가 클 수 있습니다.

다만, 구주물량이 대부분인 주식은 규모자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위의 기관보단 덜 중요합니다.

<기타 법인>
말 그대로 회사이긴 한데, 투자회사는 아닙니다.

삼성전자가 대표적이죠.
(금융권이 아니잖아요)

기타 법인은 별로 중요하진 않은데요.
종종 의미가 있을 때 있습니다.

지배구조, 의결권, 경영권 방어 목적으로 지분교환을 할 때 큰 금액이 거래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시장에 크게 영향을 끼칩니다.
연기금, 투신, 금융투자를 중요시 보세요.
나머지도 종종 참고하세요.
(개미 반대로)

 

주식투자에 있어서 기관 수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관 수급 분석은 실제 돈 버는데 요긴하게 쓰입니다.

평균 개미는 돈을 잃지만, 평균 기관은 돈을 법니다.

이 사실을 잊지 마세요.

 

코스피 지수는 정말로 박스피였을까? [한국증시 왜곡 명백한 이유]

코스피 지수가 진짜 박스피? 왜?오늘은 코스피 지수가 최근 왜 박스피에 머물러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인 편견을 간단히 살펴보고, 실제 수치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왜 코스피 '

hyunc1993.tistory.com

 

주식 '물타기'와 '분할매수'의 차이점을 반드시 알아야 해요!! [반대임]

주식 물타기와 분할매수의 근본적 차이를 알아야 합니다. 주식, 채권, 부동산(리츠), 원자재, 코인도 적용됩니다. 그리고 이것이 왜 중요한지도 알아보겠습니다. 물타기와 분할매수 차이가 중요

hyunc199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