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23 S&P500보다 안전한 로우볼 미국 ETF [USMV]를 알아보자! 저변동성 ETF인 [USMV]를 알아보겠습니다.저변동성 주식이란?주식 시장엔 다음과 같은 팩터가 있습니다.▷고배당 : 배당 많이 줌 ▷밸류 : PER, PBR이 낮음 ▷크기 : 소형주 ▷저변동성 : 변동성이 낮음 ▷퀄리티 : ROE, 부채비율 우수 ▷모멘텀 : 최근 많이 상승함위 6가지는 '장기'적으로 시장을 상회했습니다.팩터끼리도 순환매를 돌고 있습니다.그래서 항상 주시하고, 뭘 투자할지 고민해야 합니다.스마트베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오늘 소개할 ETF는 저변동성 ETF입니다.변동성이 낮아 손익 비대칭 효과가 있습니다.-20% 맞으면 +25%가 필요합니다.-50% 맞으면 +100%가 필요합니다.하락을 덜 해서 유리하게 됩니다.변동성이 낮아 S&P500보다 리스크가 낮습니다.따라서 주식 비율 늘리고 싶은.. 2025. 3. 26. [KODEX 미국러셀2000(H)] 국내 유일한 미국 러셀2000 ETF를 알아보자! [IRP, 연금저축펀드] [KODEX 미국러셀2000(H)]를 알아보겠습니다.미국 러셀 2000이란?미국 주요 4대 지수 중 하나!S&P500 : 대형주NASDAQ100 : 대형주 + 기술주DOW30 : 대형주 + 기술주 XRussell 2000 : 소형주위 4개가 미국 주요 지수입니다.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따라서 특정 지수가 우위를 갖진 않습니다.그저 국면에 따라 성과가 다를 뿐입니다.러셀 2000은 S&P500처럼 계속 관찰해야 합니다.S&P500과는 분명히 다르게 움직입니다.최근엔 모든 국가가 대형주 장세였죠?하지만 소형주가 좋았던 국면도 많았습니다.장기적으론 소형주 수익률이 좋았기도 했고요.따라서 미래엔 소형주 시대가 올 수도 있습니다.물론 미국의 소형주 지수는 많이 있습니다.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건 러셀 2.. 2025. 3. 25. 일본 엔화로 직접투자하는 유일한 부동산 ETF [1633]을 알아봅시다! 일본 부동산 ETF [1633]를 알아보겠습니다.일본 부동산 ETF부동산은 주식, 채권, 코인과 또 다른 자산입니다.보통 부동산 하면 동네 아파트만 생각하는데요.아파트, 빌라, 토지를 직접 매수하는 경우죠.이건 '비금융 부동산'이라 합니다.부동산 매수, 관리를 대신해 줄 수 있습니다.그리고 난 그런 금융 상품을 매수하죠.이건 '금융 부동산'이라 합니다.특히 타국이면, 더욱더 투자하기 어렵습니다. 일본 부동산을 투자할 방법은 있습니다. 일본에 살지 않고, 관리도 불필요합니다.어차피 임장, 관리는 운용역이 알아서 해주죠.나는 소액으로 분산된 건물주가 될 수 있습니다.바로 부동산 ETF를 투자하면 됩니다.특정 개별 부동산 리스크도 제거해 줍니다.대부분 부동산 투자자는 부동산 ETF 못 이깁니다.연도별 수익률(.. 2025. 3. 24. [추천] 가장 합리적이고 우수한 S&P500 ETF - [SPLG]를 알아보자! 미국 S&P500 ETF인 [SPLG]를 알아보겠습니다.▷S&P500은 패시브가 아니다!S&P500은 완전한 '패시브'가 아닙니다.아무렇게나 500개를 뽑지 않기 때문입니다.또, 500개를 단순 시총순서로 나열하지도 않죠.S&P에서 흑자 기업만 뽑고, 나머지는 버립니다.따라서 알아서 생존 기업만 남습니다.이는 사실상 퀀트로 운용하는 펀드라고 볼 수 있죠.매우 단순해 보이지만 근본입니다.S&P500은 미국 시장 '평균'이 아니란 것을 알고 하는 게 중요합니다.S&P500 전재산 몰빵을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미국뿐 아니라 선진국, 신흥국도 필요합니다. 그래도 S&P500이 근본인 인덱스인 것은 맞습니다.S&P500의 ETF가 참 많은데 가장 합리적인 건?바로 [SPLG] ETF인데, 알아보겠습니다.SP.. 2025. 3. 21. 이전 1 2 3 4 5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