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인덱스, 패시브, 액티브, 뮤추얼, 사모 펀드...
머리에 짬뽕이죠?
대충 인덱스 = 패시브 = ETF로 많이 알고 있는데요.
완전히 틀렸습니다.
물론 포트폴리오 설계엔, 엄청 깊게는 몰라도 됩니다.
그래도 구조는 제대로 알아야 상품을 잘 고르겠죠?
최대한 쉬운 버전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뮤추얼 펀드 vs ETF
펀드는 크게 공모펀드, 사모펀드 2개로 나뉩니다.
사모펀드는 PEF, 헤지펀드 2개입니다.
오늘 다루는 모든 내용은 '공모'펀드입니다.
공모펀드는 다시 뮤추얼펀드, ETF로 나뉘죠.
(뮤추얼펀드는 우리가 흔히 가입하는 그 펀드)
ETF는 그저 '상장' 펀드이지, '패시브'가 아닙니다.
액티브/패시브랑 아예 다른 개념입니다...
[뮤추얼 펀드] : 액티브/패시브 둘 다 있음.
[ETF] : 액티브/패시브 둘 다 있음.
▷액티브 vs 패시브
금융지식이 꽤 있는 사람조차 헷갈려합니다.
뮤추얼펀드는 우리가 생각하기에 어떤가요?
가입 후에 매니저가 운용하니까.. 액티브?
(ETF도 매니저가 운용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많이 착각합니다.
뮤추얼 펀드 = 액티브 펀드 (틀림)
ETF = 패시브 펀드 (틀림)
위의 그림 보이시죠?
액티브, 패시브의 개념은 아래와 같습니다.
[패시브] : 추종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는지?
[액티브] : 매니저의 뇌동매매를 포함하는지?
즉, 뮤추얼 펀드도 '패시브'가 있습니다.
같은 논리로 ETF도 '액티브'가 있습니다.
▷인덱스 vs 패시브
이 2개가 제일 고난도입니다.
거의 똑같다고 생각하는데요.
'인덱스' 개념은 정확히 산출 '지수'를 의미합니다.
S&P500
NASDAQ100
KOSPI200
MSCI Emerging Market
MSCI EAFE
CRSP US Total Maket
위의 지수들은 '상품명'이 아니죠?
그저 산출기관에서 숫자로 표현만 한 거죠.
(ex "KOSPI가 2,700이다")
그리고 숫자로 표현된 저 지수들 있잖아요.
저 지수와 똑같이 복제해서 '상품'으로 만들면?
그게 인덱스 펀드입니다.
'인덱스' 펀드는 사실상 '패시브' 펀드가 되죠.
(지수를 그대로 복제하니까 사실상 패시브 형태)
즉, 인덱스 펀드 = ETF는 틀린 내용입니다.
당연히 뮤추얼펀드도 '인덱스'가 있습니다.
[결론] 그러면 뭐가 중요한가?
그럼 결론은 이 글에선 뭘 얻어가야 할까요?
글을 읽었으면 얻어갈 게 있어야겠죠.
특히 중요하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ETF도 '액티브'가 있다.
뮤추얼 펀드도 '패시브'가 있다.
따라서 ETF 살 때 '액티브' 유무를 잘 봐야 해요.
보통 ETF는 지수를 추종하기 위해 삽니다.
근데 '지수'와 수익률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죠.
ETF, 뮤추얼, 패시브, 액티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꼭 제대로 알고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투자 관련 공부, 투자 관련 자격증 등 얘기 나누시죠.
방을 키우고 있습니다!
투자 공부 및 관련 자격증 공부방(투운사, 금투사 등)
#투운사 #투자자산운용사 #금융자격증 #금융투자분석사 #금투사 #금투분 #금융공부 #투자자격증
open.kakao.com
엔화, 달러는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해요!! [리스크 관리, 환율]
안녕하세요. 현빠입니다. 오늘은 왜 엔화, 달러 투자가 중요한지 알아보죠! ▶엔화, 달러를 반드시 투자하자! 최근 엔화는 싸졌고, 달러는 비싸졌습니다. 당연히 국가의 기준금리 차이 때문이죠.
hyunc1993.tistory.com
[주식, 비트코인] 가격, 수급에 대한 오해를 풀어보자! [매수량, 매도량 아님]
안녕하세요! 주식, 비트코인 등 가격, 수급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이걸 제대로 아는 사람은 별로 없기 때문에 작성합니다. ▶가격, 수급의 개념과 원리 거의 대부분 투자자들은 이걸 잘 모릅니
hyunc1993.tistory.com
[파이어족] 경제적 자유에 필요한 돈의 공식을 알아보자! (물가인상률 포함)
파이어족(은퇴)의 확실한 기준을 알아보자! [은퇴 얼마 있어야 가능?] 파이어족의 개념 및 기준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파이어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이어족에 대해 사람들이 정확히 개념
hyunc1993.tistory.com
[코스피, 나스닥, 비트코인] 왜 주도주만 오르고 떨어질 땐 다 같이 떨어질까? (이유를 알아야 해
왜 주도주만 오르고, 떨어질 땐 같이 떨어질까요?그리고 대처하는 마인드셋을 익힐 필요가 있습니다.▶오르는 것만 오르고 다 같이 하락?코스피, 나스닥, 비트코인 등 많이 하시죠?투자/트레이
hyunc1993.tistory.com
미국채(TLT)는 금리하락만 변수가 아니라, 3가지가 있어요. [언제 사야 하나?]
미국채권의 가격 변동 동인을 알아보겠습니다.금리 상승한다고 무조건 하락하지 않습니다.상승 '속도'가 진짜고, 변수가 여러 개입니다.저의 뇌피셜이 아니라, 전 수많은 논문을 읽습니다.그 내
hyunc1993.tistory.com
'해외 ETF, 투자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 인하에 민감한 바이오 관련주(ETF)를 골라보자! [XBI vs IBB] & LABU(3배 레버리지) (0) | 2024.05.17 |
---|---|
반도체 관련주(ETF) 최고는? [SOXX vs SMH vs XSD] & SOXL (0) | 2024.05.16 |
S&P500 ETF를 '달러'로 매수 vs '엔화'로 매수 ? [VOO vs 1557] (0) | 2024.05.13 |
예금, 적금은 은행 망하면 돈 못 받는데, ETF는 금융기관이 망해도 상관 없어요. [나스닥 QQQ, SCHD, VOO] (0) | 2024.05.10 |
일본 니케이225 ETF [엔화로 사는 법], [달러로 사는 법] 알아보자! (1321 vs EWJ) (0) | 2024.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