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채 투자하는 ETF를 알아보겠습니다.
[PLUS 미국채 30년 액티브]
[TIGER 미국채 10년 선물]
2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채권의 중요성(하락장에 대해)
하락장에 잘 대응하고 있나요?
하락장이 얼마나 무서운지 알아야 합니다.
돈은 시장이 벌어다 주는 것입니다.
내가 뛰어난 종목을 골라서가 아닙니다.
따라서 가격이 하락하면 비중조절해야 합니다.
하락 초입인지, 조정인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알면 그 포지션만큼 비중을 태웠겠죠.
제발 유튜브, 뉴스 분석을 보지 마세요.
절대로 상상하는 데로 쉽게 흘러가지 않습니다.
다 후행적으로 끼워 맞춘 내용입니다.
절대로 책임 있는 정보를 알려주지 않습니다.
무리하게 거래하다가 골로 갑니다.
저점 예측 제발 하지 마세요.
큰 하락만 피해도 우상향 하는데 문제없습니다.
악재가 10이어도 조정 후 반등하는 게 시장입니다.
악재가 5이어도 큰 폭락하는 게 시장입니다.
왜냐면 변수가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시장 자체는 '인간'들이 만드는 겁니다.
인간이란 미래 1년, 3년을 보고 사잖아요.
그래서 절대 향후 방향성 예측은 안 됩니다.
현금을 두거나 다른 자산도 방법입니다.
물론 다른 자산의 방향성도 알 수 없습니다.
우리는 리스크 관리를 필수적으로 해야 합니다.
주식 수요가 국채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가인상에 따른 금리인상이 아니면 말이죠.
하나의 대용인 미국채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LUS 미국채 30년 액티브]
[TIGER 미국채 10년 선물]
미국채 30년 ETF VS 미국채 10년 ETF
미국채 ETF | PLUS 미국채 30년 액티브 |
TIGER 미국채 10년선물 |
운용사 | 한화 | 미래에셋 |
시가총액 | 413억 | 1,351억 |
상장일 | 23.08.22 | 18.08.30 |
총보수 (A) |
0.15% | 0.29% |
기타비용 (B) |
0.10% | 0.07% |
매매중개수수료 (C) |
0.0472% | 0.0346% |
실제부담수수료 (A+B+C) |
0.2972% | 0.3946% |
국내에 상장된 미국채 ETF는 많이 없습니다.
하나는 10년물, 하나는 30년물입니다.
사실 취향차이입니다.
30년물의 변동성이 2배 이상은 됩니다.
주식 하락 시 방어는 30년물이 더 적합하긴 합니다.
장기채 ETF는 물가, 금리 상승엔 조심해야 합니다.
[TIGER 미국채 10년 선물]은 수수료가 비쌉니다.
주식 방어용이면, 30년이 낫겠습니다.
저는 [PLUS 미국채 30년 액티브]를 선호합니다.
수수료에 대해 설명합니다.
어플, 네이버에서 보는 비용은 총 보수(A)입니다.
실제로 상품을 만든 운용사에서 먹는 비용입니다.
B, C는 공시를 안 합니다.
실제로 우리가 지불하는 비용은 A+B+C입니다.
이 비용은 1년 기준이고, 가격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에서 볼 수 있습니다.
보는 방법은 아래 S&P500 포스팅 보면 됩니다.
미국채 투자하는 ETF를 알아보았습니다.
[PLUS 미국채 30년 액티브], [TIGER 미국채 10년 선물]
KODEX/SOL/TIGER 미국S&P500 ETF 실제 최종 수수료 비교 [공시의 5배임]
혹시 어플에 검색해서 나오는 수수료를 보시나요?0.07% 이런 수치들이 허상인 것은 아시나요?국내상장 ETF는 숨겨진 비용이 더 많습니다.(실제론 3~10배 차이)그리고 어디서 보는지도 설명합니다.
hyunc1993.tistory.com
엔화, 달러 2개는 그냥 평생 들고 있는 겁니다. [환율 문제가 아님]
자산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얘기입니다.엔화 / 달러를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습니다.마치 하나의 투자 자산이라 생각합니다.여러분은 두뇌 회로를 바꾸셔야 합니다.망치로 한방 맞은듯한 느
hyunc1993.tistory.com
(코스피, 나스닥, 니케이, 비트코인) 하락장에서는 왜 다 같이 떨어질까? [하락장 대응 방법]
코스피, 나스닥, 니케이, 비트코인 하락장에서는 왜 다 같이 떨어질까요?투자하는데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리스크 관리 할 줄 알아야 합니다.이 내용은 반드시 확실하게 알아야 합니다.주식
hyunc1993.tistory.com
[주식, 비트코인] 차트 VS 재무제표 뭐가 우선일까? [feat. 워런버핏]
주식, 비트코인 차트 VS 재무제표 뭐가 우선일까요?잘못 알려져 오해하는 부분입니다.둘 다 오랜 기간 해본 사람으로서 설명합니다.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입니다.차트 VS 재무제표 논쟁차트와
hyunc1993.tistory.com
'해외 ETF, 투자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중국, 대만, 브라질에 투자하는 신흥국(이머징마켓) ETF를 골라보자! [IEMG, VWO] (0) | 2024.08.07 |
---|---|
코스피, 니케이 폭락 원인은 과연 경기침체,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일까? [사람이 던진 게 아님!] (0) | 2024.08.06 |
(코스피, 나스닥, 니케이, 비트코인) 하락장에서는 왜 다 같이 떨어질까? [하락장 대응 방법] (0) | 2024.08.02 |
니케이225 대신 투자할만한 일본 은행주(1631) ETF를 알아보자! [소프트뱅크] (0) | 2024.07.31 |
원화, 엔화로 S&P500, 나스닥 사도 VOO, QQQ랑 똑같습니다. [개념 설명] (0) | 2024.07.30 |